![]() |
| ▲ |
응답 면접을 100% 무선전화로 하느냐, 아니면 유선전화도 일부 반영하느냐에 따라 조사결과는 상반됐다.
통상 여론조사업계에서는 유선전화 면접 비중이 높을수록 보수층 여론이 많이 반영되는 것으로 본다. 상대적으로 노년층이 유선전화에 응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12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2천3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양자 대결에서 윤 전 총장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42.1%, 이 지사는 35.9%로 각각 집계됐다.
두 후보 간 격차는 직전인 지난달 26~27일 조사의 2.7%포인트에서 6.2%포인트로 벌어졌다.
윤 전 총장은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와의 양자대결에서도 43.7% 대 33.0%로 우세했다.
차기 대권 지지도 조사에선 윤 전 총장과 이 지사가 치열한 선두 경쟁을 이어갔다.
윤 전 총장이 직전 조사 대비 1.2%포인트 내린 26.3%로 1위를 지켰고, 이 지사는 0.4%포인트 오른 25.9%로 뒤를 이었다.
이 전 대표는 3.1%포인트 하락한 12.9%를 기록해 3위를 기록했다.
이어 최재형 전 감사원장(6.1%), 국민의힘 홍준표 의원(5.4%),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2.9%), 유승민 전 의원(2.4%),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2.3%), 정세균 전 국무총리(2.1%),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2.0%) 순이었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다. 전화면접 조사방식은 90% 무선, 10% 유선이다.'
4개 기관 합동 전국지표조사(NBS)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9∼11일 전국 18세 이상 1천17명에게 조사한 결과, 양자 대결에서 이 지사는 41%로 윤 전 총장(33%)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이 전 대표는 35%로, 윤 전 총장(33%)보다 2%포인트 높았다.
여야 주자들을 모두 포함한 대선후보 적합도에서는 이 지사가 23%로 선두를 달렸다. 윤 전 총장은 19%, 이 전 대표는 12%였다.
이어 홍준표(5%), 최재형·안철수(3%), 유승민·추미애(2%) 순이었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NBS 조사는 100% 무선전화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