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시상황…비대면 소비문화 확산에 기회 찾아올 수도"

최용달 기자 / 기사승인 : 2020-05-06 14:14:11
  • -
  • +
  • 인쇄
정총리 "경제위기 극복 위해 '디지털뉴딜'…데이터경제 활성화"
"공공데이터 및 금융·의료 데이터 과감히 개방해 신산업 창출"
[열린의정뉴스 = 최용달 기자] [열린의정뉴스 = 최용달 기자] 정세균 국무총리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기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 회의에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디지털 뉴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하며 "관계부처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와 온라인 교육 서비스, 데이터 축적·활용 사업, 스마트시티 확산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의 공공데이터 활용을 적극 지원하라"고 각 부처에 공공데이터 활용을 통한 데이터경제 활성화에 대해 언급했다.

정 총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제충격이 전 영역에 걸쳐 현실화하는 경제 전시상황"이라면서 "다른 측면에서 보면 비대면 소비문화 확산으로 세계 경제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위기와 함께 기회도 찾아올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 총리는 "재택근무와 화상회의 등 일하는 방식부터 생산·개발·유통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바로 그 기회"라며 "온라인 쇼핑 등 관련 기업의 실적 상승세도 이를 증명 한다"고 전했다.

정 총리는 이어 "디지털 경제의 원천은 데이터로, 디지털 경제는 곧 데이터 경제"라며 "데이터 경제에서는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공공데이터가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면서 데이터경제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정 총리는 이와 관련, "정부는 먼저 자율주행·AI(인공지능) 등에 필요한 고품질 공공데이터와 통합 기업정보·바이오 데이터 등 금융·의료 분야 핵심 데이터를 과감히 개방해 신산업 창출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 총리는 "공공부문에서 가명 정보의 안전한 활용 확대를 위해 공공부문 개인정보 가명화 지원센터를 설치하겠다"면서 "기존의 공공데이터만으로는 부족하고 민간이 실제 필요로 하는 새로운 공공데이터 생산도 늘려야 한다"고 전했다.

정 총리는 이어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민간뿐 아니라 정부 역시 데이터에 기반한 행정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기관 간 데이터 연계·공유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칸막이' 관행을 혁파하고 기관 간 데이터 제공을 의무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