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0.7 [국회사진기자단] |
국민의힘의 7일 현재 의석수는 103석이다.
그러나 최근 뇌물 혐의로 구속된 정찬민 의원 등이 제외되지 않은 수치다.
더구나 지난 8월 복당한 윤상현 의원 등 다수의 소속 의원들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어서 장기적으로 100석 유지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국민권익위 전수조사 결과, 부동산 관련 법령 위반 의혹을 받고 당 지도부로부터 제명과 탈당을 요구받은 의원 6명의 처리 문제도 '목에 걸린 가시'로 거론된다.
앞서 지도부는 한무경 의원을 제명하기로 하고, 강기윤 이주환 이철규 정찬민 최춘식 의원에게 탈당을 요구한 바 있다.
국민의힘은 이들 모두 자진 탈당을 사실상 거부함에 따라 당 윤리위원회를 통한 중징계를 추진하려 했으나, 대장동 의혹 등 대여 공세 총력전 등을 이유로 윤리위 구성 자체를 보류해왔다.
문제는 내로남불 프레임에 직면한 국민의힘이 징계를 마냥 미루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민주당보다 더 강한 조치'를 약속한 이준석 대표가 최근 김종인 체제에서 당무감사위원장을 지낸 이양희 교수를 윤리위원장으로 내정한 것은 그런 맥락으로 보인다.
이 교수를 포함해 9인의 윤리위원 물밑 내정도 마무리 수순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리위 구성은 위원장 지명자에게 일임했다"며 "한 번 정도 위원 명단을 상의한 후에 바로 발표할 것 같다"고 예고했다.
만일 윤리위 공식 출범과 함께 일괄 탈당 처분의 강수를 두게 되면, 국민의힘 의석수는 단 번에 97석으로 쪼그라들게 된다.
원내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여권이 당장 개헌을 밀어붙이지 않겠지만, 개헌 저지선 붕괴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며 "의석수 관리에 신경이 쓰이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