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는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여러 자구노력에 더해 KBS의 공영성·공공성 강화를 위한 전격적 행보가 있어야만 국민이 인상폭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표는 "국민의 준조세로 운영되는 KBS와 EBS는 시사, 보도, 교양 프로그램에 대한 저작권 등을 자유롭게 공개한다든지, 많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성·공영성 강화 방안을 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국민의힘은 이런 걸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국민 체감 물가에 영향이 큰 대중교통 요금 동결을 위한 지자체 노력은 절박하다. 서울 지하철은 수송 원가 70% 이하 수준에서 요금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며 "고통을 국민에게 전가하지 않기 위한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