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인구감소대응연구회, 청년인구 지역정착 정책적 해법 모색

김태훈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3 18:25:28
  • -
  • +
  • 인쇄
정책연구용역 최종 보고 및 간담회 열려
▲ 경남도의회 인구감소대응연구회, 청년인구 지역정착 정책적 해법 모색

[코리아 이슈저널=김태훈 기자] 경남도의회 의원 연구단체 인구감소대응연구회(회장 전기풍 의원)는 23일 ‘경상남도의 청년인구 지역정착 정책 실효성 검토’를 주제로 한 정책연구용역의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경남 청년인구의 유출 현황과 원인을 분석하고, 경남도가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연구진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남 거주 고등학생 중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의 89%가 경남을 떠나 다른 지역 대학에 진학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경남에 거주하는 청년(19~39세)의 절반 이상(55.9%)은 향후 수도권(27.6%)이나 부산(16.6%) 등 타 지역에 정착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정책 분야로는 ‘일자리 지원’과 ‘주거 지원’을 꼽아, 경제적 기반과 생활 안정이 청년들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이에 발표를 맡은 책임연구원 조재욱 교수는 “경남의 청년인구 감소는 단순한 출생률 저하가 아니라, 수도권으로의 지속적 유출이 근본 원인”이라며 “양질의 일자리 부족, 교육·문화 인프라 격차, 지역 매력도의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조 교수는 청년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과 함께 ‘리퀴드 폴리탄(lquid politan)’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퀴드폴리탄이란 리퀴드(Liquid, 액체)와 폴리탄(Politan, 도시)을 합친 용어로, 사람들이 정주하는‘고정된 도시’가 아닌 다양한 구성원들이 어우러지는 ‘유연한 도시’를 뜻한다.

조 교수는 “과거에는 특정 주소지에 거주하는 ‘정주인구’만을 도시 인구로 간주했으나, 이제는 정주인구 외에 여행객, 통근자, 입원 환자 등 특정 지역에 일정 기간 생활을 영위하는 ‘생활인구’, 주민등록 지역 외에 1박 이상 머무는 ‘체류인구’를 포함한 ‘관계인구’를 도시 인구로 인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며 지자체에서는 생활인구 유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열린 간담회에서는 전기풍 회장을 비롯한 연구회 소속 의원들이 참석해, 청년 유출 문제 해결 방향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회장 전기풍 의원은 “이번 연구가 경남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위한 정책 설계에 실질적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