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종식, “국민, 강경 대응보다 ‘실리 외교’ 주문 … 협상 충격 최소화해야”
 |
| ▲ 허종식 의원 |
[코리아 이슈저널=홍종수 기자]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이어진 미국의 통상 압박과 한미 관세협상 대응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정부의 대응 방식에 대한 지지와는 별개로, 협상 결과가 국내 경제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크게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자중기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시그널앤펄스에 의뢰해 지난 21~22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한미 관세협상에 대한 정부 대응 평가’를 묻는 질문에 긍정평가(‘매우 잘함’ 35.4%, ‘대체로 잘함’ 18.0%)가 53.4%로, 부정평가(‘대체로 잘못함’ 9.5%, ‘매우 잘못함’ 33.1%) 42.6%보다 10.8%p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긍정 77.4%)에서 긍정 평가가 가장 높았으나, 대구·경북에서는 부정 평가가 61.6%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과반을 기록했다. 세대별로는 40대
(긍정 65.8%)와 50대(긍정 60.3%)가 긍정 평가를 주도한 반면, 20대에서는 부정 평가가 63.9%에 달해 전 세대 중 가장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정부의 대응 기조를 묻는 질문에서는 ‘전략적 실리 확보’(55.5%) 응답이 ‘단호한 국익 수호’(39.8%)보다 15.7%p 높게 조사됐다. 특히 20대(75.8%)와 서울(63.9%)에서 ‘전략적 실리 확보’ 응답이 두드러져, 국민들이 강경한 태도보다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협상 태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정부 대응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관세협상 결과 국내 악영향 우려 수준’에 대해서는 ‘우려된다’(‘매우 우려’ 49.9%, ‘다소 우려’ 34.0%)는 응답이 83.8%에 달해, ‘우려되지 않는다’(13.5%)는 응답을 압도했다.
특히, 정부의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층에서조차 75.1%가 ‘악영향을 우려한다’고 답해, 정부의 협상 과정은 지지하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국민적 불안감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됐다.
허종식 의원은 “국민 절반 이상이 이재명 정부의 유연하고 실리적인 협상 대응에 긍정적 평가를 보내고 있다”며 “이는 ‘단호한 국익 수호’라는 강경론보다 ‘전략적 실리 확보’를 바라는 민심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허 의원은 “다만 협상 결과에 대해 83.8%라는 압도적 다수가 물가 상승 등 악영향을 불안해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러한 민심을 무겁게 받아들여, 협상 결과가 국내 민생 경제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 ARS(자동응답) 방식으로 100%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허용오차 ±3.1%p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