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미술관 연계 가능성 외면” “공유재산심의 생략은 절차 미비” 비판 이어져
 |
▲ 제443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 |
[코리아 이슈저널=김태훈 기자]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고태민 위원장, 국민의힘) 제443회 서귀포시 행정사무감사에서 논란이 된 서귀포 관광극장에서 오순문 시장에게 현안보고를 받고 이어진 정책질의에서 서귀포 관광극장 철거 문제를 둘러싼 서귀포시의 졸속 행정과 절차 미비를 강하게 질타했다.
관광극장은 서귀포에서 지어진 상징적 공간으로, 화재 이후 노천극장으로도 활용되며 문화적 의미를 지녀왔다. 고태민 위원장(국민의힘)은 이중섭미술관과 무관한 관광극장을 공유재산으로 매입하고도 실제 활용하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철거 또는 처분에 해당함에도 공유재산심의를 거치지 않은 점을 강하게 질책했다. “매입 당시 의회의 부대의견과 검토보고서의 활용방안조차 반영하지 않은 것은 의회와 도민을 무시한 행위”라며 시장의 사과를 요구했다.
양영수 의원(진보당)은 서귀포시가 문화도시를 내세우면서도 관광극장을 사실상 방치해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광극장은 예비 미래문화자산으로 지정됐고, 2022년 공립미술관 설립 사전평가에서도 ‘조건부 적정’ 판정을 받으며 이중섭 생가 터와 산책길 보존이 명시됐지만, 문화체육관광부 타당성 조사에서는 관광극장 관련 내용이 누락됐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원화자 의원(국민의힘)도 “보존 가치가 인정된 자산을 정밀안전진단까지 거친 뒤 철거 결정을 내리는 것은 공론화 부족과 행정의 일관성 결여를 드러낸 것”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관광극장 매입 당시부터 이중섭미술관과의 연계 계획이 있었다며 “보존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고려한 대안 마련이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광극장을 예술인 공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충분히 논의할 수 있었다”며, 건물을 영구히 남기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의 가치를 지켜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철거냐 보존이냐의 이분법을 넘어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하는 행정이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밀안전진단에서 제시된 보수·보강 가능성, 석축벽체 보존 대안, 공유재산심의 누락 등 절차상의 문제를 짚으며 “성급한 결정으로 유산 보존 기회를 놓쳤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건축물 존치 여부보다 그 공간에 담긴 시민의 기억과 정체성을 어떻게 이어갈지에 대한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진 의원은 관광극장에 얽힌 지역민의 정서와 추억을 언급하며 “공유재산 매입 당시 심의와 부대의견이 있었음에도 이를 반영하지 않은 점은 도민과 의회를 무시한 처사”라며 이같은 결정에 유감을 표했다.
이어서 고태민 의원(국민의 힘)도 “이중섭미술관 확장 계획이 작년부터 보고됐음에도 행정이 충분한 준비 없이 추진된 점이 아쉽다”며 이번 논란에 대해 강하게 지적하며 시장의 사과를 요구했다.
논란에 대해 서귀포시는 정밀안전진단 결과와 건축사회 권고 등을 근거로 철거를 결정했음을 밝혔다. 이어 “공유재산심의가 이뤄지지 않은 점은 행정 미비였고, 시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문화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사과했다.
이번 사안은 문화유산 보존과 행정 효율성 사이에서 어떤 균형을 취해야 하는지, 문화도시의 정체성을 행정이 얼마나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과제를 던졌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