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2.27 |
대통령실 관계자는 29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각 수석실에서 신년사에 담겼으면 하는 메시지를 보고했고, 이를 취합해 초안을 완성한 단계"라며 이같이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 사는 국민의 나라'라는 국정 비전에 따라 지난 정부의 비정상을 바로 잡고 국민 삶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신년사 분량은 20분 안팎으로 전해졌다.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준비된 원고를 낭독하는 형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3대 개혁과 경제 활성화에 신년사 방점이 찍힐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민간 주도와 시장 중심의 경제 시스템을 지향해왔지만, 규제 혁신 등 정부의 민간 지원 역할도 중시하는 입장이다.
특히 내년 경제 성장률이 2%를 밑돌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수출을 통한 경제 활로 찾기에 사활을 걸고 총력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그 연장선에서 재계와 소통도 강화하는 흐름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기 5년 내내 경제인들이 주최하는 신년 행사에 불참한 데 반해 윤 대통령이 다른 행보를 보일지도 주목된다.
윤 대통령은 또 신년사에서 노동·교육·연금개혁이 미래 세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피해갈 수 없는 중차대한 과제라는 점도 거듭 부각할 전망이다.
2023년을 3대 개혁의 원년으로 선포한 배경에는 그것이 대한민국 재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라는 인식도 깔렸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고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요즘 업무보고에서 자주 강조하는 것이 수출과 스타트업 코리아"라며 "3대 개혁은 그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신년사를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미국 대통령의 '노변정담'과 같은 콘셉트로 접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루스벨트 전 대통령이 1930년대 대공황 당시 라디오 연설을 통해 국민의 지지와 협력을 끌어냈던 것처럼, 경기 한파에 지친 국민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힘을 모아달라 호소하겠다는 취지로 이해된다.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새로운 의제를 던지거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기보다 국민 공감을 자아내는 연설이 될 것"이라며 "1년에 한 번 하는 노변정담 느낌"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한때 보류한 것으로 알려진 기자회견도 별도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부처별 업무보고와 해외 순방으로 1월 중이 어렵다면 이후 연초에 '신춘' 회견을 여는 방안이 거론된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