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 2022.12.22 |
이태원 참사 사태로 야당 공세를 받아야 했던 여당이 신의원 논란을 고리로 역공에 나선 모양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오전 비상대책회의에서 "우리 당은 (신 의원을) 윤리위원회에 회부하려고 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 원내대표는 신 의원이 남편과 함께 명지병원 닥터카에 탑승하게 된 경위와 그에 따라 지체된 현장 도착 시간, 도착 15분 만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의 관용차를 타고 현장을 떠난 이유 등을 국민 앞에 소상히 밝히라며 "이를 국정조사 과정에서도 명백히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골든타임 4분을 놓치면 안 된다고 그렇게 강조하던 분이 본인의 갑질로 골든타임을 수십 분이나 갉아먹을 상태"라며 "숨어서 될 일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양금희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참사 현장에 갈 때는 명지병원 닥터카를 콜택시처럼 불러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최악의 갑질을 자행했다"며 "국정조사 증인 채택은 당연지사이며, 법의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애 원내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참사 현장을 자기 정치에 이용한 '확신범'으로 볼 수밖에 없다. 정치적 패륜 행위에 대한 진실 규명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들은 성명서를 내고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가 제대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신 의원 잘못부터 따지고 조사해야 한다"며 "신 의원은 당에서 조처하기 전에 스스로 의원직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오는 23일 오전 신 의원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할 예정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신 의원이 이태원 참사 현장을 방문한 뒤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이동할 때 조 장관의 관용차를 이용하면서 애초 이 차에 타려던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이 차를 이용하지 못했다.
당권 주자인 권성동 의원은 페이스북에 "국회의원이라는 신분을 악용해 '배지 플렉스'를 했던 것"이라며 "현재 드러난 정황만으로도 응급의료법 위반, 공무집행 방해, 직권남용 등에 해당한다"고 비판했다.
또 "명지병원 역시 국정조사 대상이 돼야 한다. 신 의원 호출을 받아 닥터카를 보냈다면, 명지병원 역시 국가재난 시스템을 사적으로 사용한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당권 도전에 나서는 윤상현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신 의원의 닥터카 탑승을 비판하며 "택시 타는 법을 모르는 건가. 참사 당일 조규홍 복지부 장관도 현장에 올 땐 택시를 이용했다"고 꼬집었다.
또 윤 의원은 신 의원이 지난달 참사 당일 정부 대응을 비판하는 모습의 장면을 공유하고 "본인이 구조 활동 방해하고선 왜 구조 활동 늦었냐고 따지는 경우는 처음 본다"고 비꼬기도 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