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밈을 넘어, 설계로. 사람을 향한 창의적 도시디자인 주문
 |
| ▲ 서울시의회 윤종복 의원 |
[코리아 이슈저널=최성일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윤종복 의원(국민의힘, 종로1)은 제333회 정례회 디자인정책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디자인정책관의 디자인이 여전히 ‘상품디자인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이제는 도시를 설계하는 디자인으로 전환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서울시는 ‘디자인서울’, ‘DDP’, ‘서울디자인위크’ 등 화려한 이름의 브랜드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왔지만, 정작 ‘도시를 디자인한다’는 철학은 찾아보기 어렵다”며 “지금의 디자인정책은 도시 전체의 구조와 질서를 설계(Urban Design)하기보다는 색·형태·재질 등 시각적 요소 중심의 상품디자인에 편중돼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상품디자인이 감성적 만족을 위한 ‘보여주는 미학’이라면, 도시디자인은 교통·건물·사람의 동선과 생활 패턴을 함께 설계하는 ‘살아가는 철학’”이라며, “서울의 디자인행정에 도시 설계자의 철학과 비전이 담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의원은 “경관정책은 여전히 문화재와 자연 중심의 ‘보존 행정’에 머물러 있다”며, “도시는 이미 초고밀·복합도시 단계로 진입했는데, 여전히 저밀도 국가의 경관 기준으로 서울을 재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제는 시민이 매일 마주하는 아파트와 스카이라인, 생활권 공간도 서울의 얼굴로 인식해야 한다”며, “경관정책을 ‘보존에서 창의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윤 의원은 또한 “용적률에 매몰된 고도 성장기식 물리적 사고로는 경관정책이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며, “도시경관 업무를 도시계획의 물리적, 양적 성장 중심 사고에 기반하는 부서가 아닌 창의적 사고 기반의 디자인정책관에 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의원은 “서울의 경관은 더 이상 건축물의 높이와 형태로만 재단될 수 없다. 진짜 도시의 미학은 시민의 일상과 삶의 질 속에서 완성되는 것”이라며, “디자인정책관이 말뿐인 창의가 아닌 실행으로 보이는 창의행정을 펼쳐주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