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중증 환자의 급격한 증가, 병상 부족 등의 사태로 방역 당국을 넘어 청와대 책임론이 커지는 상황을 직접 정리하고 이를 정면으로 돌파하려는 의지로 읽힌다.
문 대통령은 16일 단계적 일상회복을 잠시 멈추고 오는 18일부터 강화된 거리두기 방안을 시행하게 된 데 대해 "국민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위중증 환자의 증가를 억제하지 못했고 병상확보 등의 준비가 충분하지 못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일상회복 준비 부족을 인정한 셈이다.
특히 지난달 29일 문 대통령이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 "어렵게 시작한 단계적 일상회복을 되돌려 후퇴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일상회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이날 후퇴는 문 대통령에게는 뼈아픈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대국민 사과 메시지를 직접 다듬었다고 한다.
이는 결국 현 상황에 침묵을 지키기보다는 낮은 자세로 국민에게 사과하고 방역 당국 등 정부의 의지를 다잡기 위한 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학부모들의 반발에 따른 청소년 접종 혼란, 방역패스 '먹통' 등의 사태에서 대국민 사과를 더는 미룰 수 없었을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대통령은 정책상 미흡한 점이 있다는 지적을 피하지 않았다"며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준비하고 단계적 일상회복을 성공으로 이끌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이번 메시지를 계기로 청와대와 정부는 코로나 대응 총력전에 나설 태세다.
문 대통령도 "강화한 방역조치 기간에 확실히 재정비해 상황을 최대한 안정시키고 일상 회복의 희망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거리두기 강화 조치로 피해가 가장 큰 자영업자·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손실보상 조치가 우선 현안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은 "일상회복으로 기대가 컸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상실감이 크므로, 손실보상과 함께 방역 협조에 대해 최대한 두텁게 지원하는 방안을 조속히 확정해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문 대통령의 이번 사과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향한 손실보상 약속이 K방역에 대한 비난을 진정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는 이번 조치에 반발해 22일 대규모 집회를 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방역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청와대와 정부를 향해 '뒷북조치' 등의 비판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