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8일 이태원 참사 관련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서울 용산구청에서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 관계자가 압수품을 담을 박스를 옮기고 있다. 특수본은 용산구청장실과 부구청장실, 행정지원국·문화환경부 사무실, CCTV 통합관제센터 등 19개소에서 관련 자료 등을 확보 중이다. 2022.11.8 |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사고 당일인 지난달 29일 오후 10시 53분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을 통해 행정안전부로부터 '재난문자방송 송출(필요시)'이라는 상황 전파 메시지를 받았다.
당시 시청 상황실에서는 지역 재난문자 송출 의무가 있는 용산구청 당직실에 여러 차례 전화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고, 오후 11시 27분에야 용산구 재난문자 담당자의 회신으로 통화를 하게 됐다. 용산구청의 재난문자 업무는 안전재난과에서 맡는다.
시 관계자는 "용산구는 NDMS를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재난통합상황실을 상시 운영하지 않아 처음에 당직실로 전화를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용산구 담당자와 통화가 이뤄진 뒤에도 재난문자가 발송되지 않았고, 그 사이 시는 긴급한 상황임을 고려해 당일 오후 11시 56분 직접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용산구가 처음 재난문자를 보낸 시각은 다음날 오전 0시 11분이었다.
시는 29일 오후 11시 56분부터 다음날 오전 4시 12분까지 7차례, 용산구는 다음날 오전 0시 11분과 1시 37분 두 차례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용산구 관계자는 정부·서울시와 소통이 늦어진 경위와 통화 후에도 재난문자를 바로 발송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라 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당시 용산구 재난문자 업무를 담당한 직원은 이날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행안부의 '지방자치단체 긴급재난문자 운영 지침'에 따르면 자치구 관내에서 발생한 재난은 해당 자치구에서 안내문자를 보내게 돼 있다. 서울시 등 광역 시·도는 2개 이상 자치구에서 발생한 재난에 대해 문자를 발송한다.
행안부가 운영하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은 상황전파시스템과 재난문자방송시스템 등 25개로 구성돼 있다. 시와 구 등 지자체 담당자가 전산망 접근 권한을 갖고 있으며 상황 발생 시 해당 내용을 입력해 재난문자를 송출해야 한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전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서울시와 용산구에 재난문자 발송을 지시했지만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다시 발송을 지시한 바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향후 시·구 구분 없이 신속한 상황 대처가 이뤄져 재난 정보가 적기에 시민들에게 전달되도록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