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 한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생태 정원으로 되살릴 수 있는 복원 모델 제시
 |
| ▲ 토양 특성 연구 |
[코리아 이슈저널=홍춘표 기자] 경기지방정원(새로숲) 조성에 앞서 조성부지인 시화매립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정밀 진단한 연구의 결과가 생태복원 분야 SCI(E)급 학술지 에콜로지컬 엔지니어링(Ecological Engineering)에 등재됐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나무연구팀은 에콜로지컬 엔지니어링(Ecological Engineering) 저널의 2026년도 2월 223호에 ‘Soil constraintsecological restoration planning for a proposed urban garden on a reclaimed landfill in South Korea’ 라는 제목으로 게재된다고 밝히며, 현재 온라인판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에콜로지컬 엔지니어링은 전 세계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인용하는 복원 생태 저널 중 하나로 환경복원 및 생태공학 분야의 대표 저널로 인정받고 있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나무연구팀은 시화매립지는 일반 도시림보다 높은 용적밀도(1.38 g/cm³), 낮은 공극률, 알칼리성(pH 8.13), 유기물·질소·인산 부족, 칼슘·마그네슘 과다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일반 공원이나 도시림보다 뿌리 활착이 어렵고 양분 이용이 제한된 상태로, 유기물 투입, pH 조정, 배수 개선 등 복합적인 복원처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는 연구를 통해 이런 문제를 사전에 파악해 복원 전략을 수립해 경기지방정원 새로숲 조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경기지방정원 조성 담당부서(道정원산업과)와 공유했다.
경기도는 지난 17일 옛 안산시화쓰레기매립지 부지에 경기지방공원 ‘새로숲’조성 공사를 시작했다.
‘새로숲’은 ‘새로운 숲’, ‘다시 태어나는 자연’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단순한 공간의 명칭을 넘어 경기도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도민과 함께 회복과 공존을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과거 쓰레기와 오염의 공간이었던 안산시화 매립지를 생태문화의 거점으로 전환한다는 메시지도 담고 있다.
경기지방정원 조성 부지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8개 시군의 생활쓰레기를 매립하던 장소였다. 1994년 매립 종료 이후 2016년 사후관리까지 마무리되며 폐쇄됐다. 한때 접근조차 어려운 폐기물의 상징이었지만 이제는 정원문화와 생태 회복의 대표 공간으로 새롭게 거듭난다.
경기도는 총 98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45만㎡ 부지에 경기지방정원을 조성한다. 1단계 개방은 2026년 4월로 예정됐다. 정원 18만㎡와 안산갈대습지 40만㎡를 연계해 일반에게 공개한다. 나머지 구역의 정원시설 및 센터 건축을 완료해 2027년 전체 개원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매립지뿐 아니라 도시 내 훼손지·유휴부지 복원 사업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모델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책임자인 최병길 박사는 “이번 연구가 단순한 논문 성과에 그치지 않고, 경기도의 실제 정원·녹지 조성사업에 적용되어 예산 효율성과 생태복원 효과를 함께 높이는 사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일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장은 “경기도는 연구-정책-현장 간 연계 연구를 강화해 도시 내 훼손지, 유휴토지 등을 생태적으로 되살리고, 탄소 중립형 정원 조성·관리 모델을 전국적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