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철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7) |
[코리아 이슈저널=홍춘표 기자]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소속 김철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7)은 24일 열린 2026년도 AI국 예산안 심사에서 경기도의 AI 관련 예산 편성이 국가 정책 방향과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강도 높게 지적했다.
김 의원은 “2026년도 AI국의 감액 사업은 총 19개, 2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51.9% 감액 편성됐다”며, 특히 ‘인공지능 인재양성’과 ‘경기 AI 혁신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예산이 50% 이상 감액된 점을 문제로 꼽았다.
이어 김 의원은 “인공지능 인재양성 사업 예산이 50%나 감액되는 등 정부가 추진하는 AI 전략과 도의 정책 방향이 일관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또한 김 의원은 “2025년까지는 추진됐던 주요 사업이 2026년도 본예산에 반영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데이터 산업 육성 지원’과 ‘AI기업 고성능 컴퓨팅 지원’ 사업은 중앙정부의 AI 반도체·인프라 확충 기조와 부합함에도 반영되지 못한 점을 꼬집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AI 관련 예산 증액 및 방향성에 맞춰 경기도도 정책을 정비해야 한다”고 말하며, 경기도 사이버 침해대응센터 관련 문제도 추가로 지적했다.
김 의원은 “경기도가 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은 78곳에 달하지만, 예산과 인력은 서울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관제 범위는 경기도가 훨씬 넓음에도 관제 인력이 서울보다 10명이나 부족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사이버 위협은 고도화되고 있다”며, “지금과 같은 인력·예산 체계로는 정상적인 보안 관제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사이버 침해 대응을 위해서는 선제적 준비와 적극적 대응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인력과 예산 확충을 반드시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