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종식 의원 “인천 석탄비축장, 내년까지 완전 이전 … 부지 활용 논의 ‘급물살’”

홍종수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0 22:05:07
  • -
  • +
  • 인쇄
산업부 “재고 5만9천톤 중 판매 수요 6천톤 불과 … 잔여 5만3천톤 타 지역 이전”
▲ 허종식 의원

[코리아 이슈저널=홍종수 기자] 정부가 인천 서구 석탄비축장에 남아있는 무연탄 전량을 내년 말까지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면서, 비축장 부지 활용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자중기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산업통상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당초 2025년까지 인천 비축장의 무연탄을 판매하여 전량 방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연탄 수요 감소와 낮은 품질 문제로 연탄공장들이 비축탄을 외면하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산업부 관계자는 “비축탄은 수분 함량이 높고 열량 등 품질 신뢰도가 낮아 연탄공장들이 생산지에서 직접 공급받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8월까지 인천 비축장에서 판매된 무연탄은 6,302톤에 불과했다. 현재 재고량은 5만9,329톤에 달하며, 제한적인 판매 수요를 고려할 때 전량 방출까지 약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정부는 판매를 통한 방출은 한계가 있다고 판단, 잔여 무연탄 전량을 내년 말까지 타 지역 비축장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다만, 이전을 위해 필요한 사업비 약 15억원이 아직 정부 본예산에 편성되지 않아,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한편, 부지 활용의 또 다른 걸림돌이었던 토양오염 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지난 9월 대법원이 인천 서구청의 토양 정화 명령 처분에 대해 대한석탄공사의 손을 들어줬다. 또한, 지난해 토양오염 우려 기준이 400mg/kg에서 1,300mg/kg(2지역)으로 상향 조정되면서 해당 부지가 정화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커졌다

핵심 쟁점들이 해소됨에 따라 부지 활용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제7차 석탄산업 장기계획(2026~2030)’ 수립 용역에 인천 비축장 부지 활용 방안을 포함시켰다. 인천시 역시 ‘2030 인천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에 해당 부지를 ‘산업혁신구역’으로 지정하여 개발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인천 석탄비축장은 수도권 무연탄 수급 안정을 위해 1980년 서구 가좌동 173번지 일원 11만4,318㎡(약 3만4,580평) 부지에 조성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 비축장을 둘러싼 핵심 현안들이 상당 부분 해소된 만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 과정에서 이전 사업비를 확보하여 내년까지 방출이 완료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앞으로 비축장 부지가 일자리 창출과 혁신 성장의 거점으로 활용되어 인천 시민의 공익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