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의 부끄러운 민낯

열린의정뉴스 / 기사승인 : 2021-02-04 15:12:41
  • -
  • +
  • 인쇄
한겨레 기자들 "무리한 정부 편들기" 반발
“사실 확인도 않고 정부 편들어”
"데스크 주도 친 정권 편향보도"
▲ 발행인 최계식
[열린의정뉴스 = 열린의정뉴스] 한겨레신문 취재기자 40여 명이 “한겨레는 문재인 정권 법무부에 유독 관대했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지난달 26일 알렸다. 자사(自社)가 ‘조국 사태’와 이용구 법무부 차관의 택시 기사 폭행 사건 등을 다룰 때 정부·여당을 감싸는 보도를 해왔다는 취지의 글이다. ‘추미애 라인’ 검사에게 받은 자료를 사실 확인도 하지 않고 받아썼고 이 과정에서 오보가 발생했다고도 주장했다. 해당 성명서는 사내 메일을 통해 국장단과 부서장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 기자들은 성명에서 “성역 없이 비판의 칼날을 세웠던 한겨레는 조국 사태 이후 권력을 검증하고 비판하는 데 점점 무뎌지고 있다”며 “국장단의 어설픈 감싸기와 모호한 판단으로 ‘좋은 저널리즘’의 가치가 훼손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1월 15일자 “김학의 출국금지, 절차 흠결과 실체적 정의 함께 봐야” 제하 사설과, 지난 25일 “윤석열 새 혐의…'양승태 문건'으로 조국 재판부 성향 뒷조사”라는 제목의 기사를 문제로 꼽았다. 이용구 법무부 차관의 운전 중 폭행을 감싸는 기사를 썼다가 오보 논란이 인 것도 문제 사례로 거론했다.

일선 기자들은 “현재 법조 기사들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쓰여 지고 있다. 그에 따른 부끄러움과 책임은 온전히 현장 기자의 몫으로 돌아오고 있다”며 “한겨레가 어쩌다가 ‘파시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 기사를 쓰게 된 걸까”라고 했다. 이어 “이해관계를 떠나 틀린 건 틀렸다고 비판하고, 의혹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취재해야 한다”며 “데스크에서 구체적인 정황이나 물증 없이 ‘한쪽 편을 드는 기사’를 현장에 요구하며 설명하는 게 소통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기자들은 “인물을 떠나 기본권 침해는 최소한의 적법 절차에 의해 이뤄져야 한다는 건 한겨레가 지난 30년간 지켜온 가치”라며 “조국 사태 때부터 지적된 편들기식 보도가 이런 사설과 보도를 낳은 본질”이라고 비판했다.

기자들은 지난해 법조팀도 비슷한 문제 제기를 수차례 전했지만 개선된 게 없었고, 국장의 ‘토론단위 확대’, ‘보도 점검 자리’, ‘현장 기자 비상구’ 등은 찾아볼 수 없었다며 “국장단과 사회부장, 법조팀장이 해당 기사와 사설에 대한 경위를 밝힌 뒤 그에 따른 합당한 책임을 지고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요구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정파·좌우 진영 가릴 것 없이 공정한 잣대로 보도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책 마련도 요구하고 나섰다.

이애 대해 지난달 28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한겨레신문은 '김학의 출국 금지' 상황이 벌어지기 20분 전 이를 특종 보도해 검언유착 논란에 휩싸였다. 여기에 더해 ‘추미애 라인’ 검사가 건넨, 사실관계가 틀린 자료들로 이용구 차관을 봐주는 기사를 실었다가 오보 사태를 맞이했다고 한겨레 기자들이 양심선언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자료를 건넨 ‘추(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라인 검사’로 지목된 이종근 검사장은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며 “그렇지 않아도 이 정권에는 드루킹 조작의 추악한 그림자가 어른거리는데, 진실 은폐ㆍ왜곡, 검언유착은 사실관계만 조작하는 게 아니라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반사회적 범죄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추 전 장관과 이 검사장은 검언유착의 실체를 스스로 밝히고 책임져야 한다. 제대로 규명이 안 되면 국민의힘은 검언유착 청문회, 국정조사를 검토하겠다”고 주장했다.

성명서 사건으로 이춘재 한겨레신문 사회부장은 1월 28일 보직에서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사회부장 혼자의 사퇴로 이 사건이 마무리 된다고 볼 수 없다. 그 본질적인 대책이 없다면 한겨레의 미래는 없다고 본다.

한겨레신문은 현재 어디로 가고 있는가? 언론의 사명은 비판과 독립성, 공정성, 선명성, 중립성을 지켜야 한다.

왜? 한겨레가 他 언론사들로부터 도마 위에 올라 질타의 대상으로 변해 버렸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 사건의 원인 제공은 한겨레에서부터 나왔다. 문재해결도 한겨레가 해야 되는 상황이다. 이번 사건으로 한겨레 구성원은 한겨레 창간 당시의 창간이념과 정신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번 사건에 대해 한겨레는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는 독자들에게도 사과를 해야 한다. 한겨레를 키워온 전직 임직원들은 아직도 한겨레를 믿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한겨레는 언론사의 사명의식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

독자는 더 이상 시대에 편승하는 기사를 원하지 않는다.

[저작권자ⓒ 코리아 이슈저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